197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2년 하계 올림픽 축구는 1972년 독일에서 개최된 올림픽 축구 대회이다. 예선은 1971년부터 1972년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16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경기는 독일 6개 도시에서 열렸으며, 폴란드가 금메달, 헝가리가 은메달을 획득했고, 소련과 동독이 공동 동메달을 차지했다. 카지미에시 데이나가 9골로 득점왕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2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72년 하계 올림픽 핸드볼
1972년 하계 올림픽 핸드볼은 1972년 8월 30일부터 9월 10일까지 서독 뮌헨에서 16개 팀이 참가하여 유고슬라비아가 금메달을, 체코슬로바키아가 은메달을, 루마니아가 동메달을 획득한 대회이다. - 1972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72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1972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은 남자 및 여자 3m 스프링보드와 10m 플랫폼의 4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되었으며, 25개국이 참가하여 블라디미르 바신, 클라우스 디비아시, 미키 킹, 울리카 크나페 등이 금메달을 획득했고, 미국과 이탈리아가 메달 순위 공동 1위를 기록했다. - 1972년 축구 - 1972년 AFC 아시안컵
1972년 AFC 아시안컵은 태국에서 개최되어 이란이 대한민국을 꺾고 우승했으며, 태국과 크메르 공화국이 각각 3위와 4위를 기록했다. - 1972년 축구 - 197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97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카메룬에서 개최되어 콩고 공화국이 말리를 꺾고 우승했으며, 판타마디 케이타가 득점왕을 차지한 8번째 대회이다. - 1972년 하계 올림픽에 관한 - 1972년 하계 올림픽 핸드볼
1972년 하계 올림픽 핸드볼은 1972년 8월 30일부터 9월 10일까지 서독 뮌헨에서 16개 팀이 참가하여 유고슬라비아가 금메달을, 체코슬로바키아가 은메달을, 루마니아가 동메달을 획득한 대회이다. - 1972년 하계 올림픽에 관한 - 1972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1972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은 남자 및 여자 3m 스프링보드와 10m 플랫폼의 4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되었으며, 25개국이 참가하여 블라디미르 바신, 클라우스 디비아시, 미키 킹, 울리카 크나페 등이 금메달을 획득했고, 미국과 이탈리아가 메달 순위 공동 1위를 기록했다.
1972년 하계 올림픽 축구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 | |
국가 | 서독 |
기간 | 1972년 8월 27일 – 1972년 9월 10일 |
참가 팀 수 | 16 |
대륙 연맹 | 5 |
경기장 수 | 6 |
도시 수 | 6 |
결과 | |
우승 | (1회 우승) |
3위 | (공동) |
3위 | (공동) |
경기 수 | 38 |
총 득점 | 135 |
총 관중 | 795433 |
최다 득점자 | 카지미에시 데이나 (9골)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1968 |
다음 대회 | 1976 |
2. 대회 진행
2. 1. 예선
1972년 하계 올림픽 축구의 예선은 1971년부터 1972년까지 진행되었다. 총 16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2. 2. 선수 명단
1972년 하계 올림픽 축구에 참가한 선수 명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1972년 하계 올림픽 축구 - 남자 팀 명단 문서를 참고하라.2. 3. 경기장
1972년 하계 올림픽 축구 경기는 독일의 6개 도시에서 개최되었다.뮌헨 | {{location map+|Germany Bavaria|float=right|width=360|caption=|places= | 뉘른베르크 | |
---|---|---|---|
올림피아슈타디온 (뮌헨) | 프랑켄슈타디온 | ||
![]() | |||
레겐스부르크 | 파사우 | ||
얀슈타디온 (레겐스부르크) | Dreiflüssestadion | ||
![]() | |||
잉골슈타트 | 아우크스부르크 | ||
ESV-슈타디온 | Rosenaustadion | ||
![]() |
3. 조별 리그
3. 1. 1차 리그
3. 1. 1. A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서독 | 3 | 3 | 0 | 0 | 13 | 0 | +13 | 6 |
모로코 | 3 | 1 | 1 | 1 | 6 | 3 | +3 | 3 |
말레이시아 | 3 | 1 | 0 | 2 | 3 | 9 | -6 | 2 |
미국 | 3 | 0 | 1 | 2 | 0 | 10 | -10 | 1 |
- 1972년 8월 27일, 올림픽 스타디움(뮌헨)에서 열린 서독과 말레이시아의 경기에서 서독이 3-0으로 승리하였다. 서독의 보름이 56분에, 칼프가 71분에, 젤리거가 82분에 득점하였다. 관중은 60,000명이였다. 브라질의 아르만두 마르케스가 주심을 맡았다.
- 1972년 8월 27일, 로제나우슈타디온(아우크스부르크)에서 열린 모로코와 미국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관중은 4,000명이였다. 동독의 루디 글뢰크너가 주심을 맡았다.
- 1972년 8월 29일, 드라이플뤼세슈타디온(파사우)에서 열린 서독과 모로코의 경기에서 서독이 3-0으로 승리하였다. 서독의 니켈이 30분과 33분(페널티킥)에, 히츠펠트가 53분에 득점하였다. 관중은 16,000명이였다. 터키의 도안 바바잔이 주심을 맡았다.
- 1972년 8월 29일, ESV-슈타디온(잉골슈타트)에서 열린 말레이시아와 미국의 경기에서 말레이시아가 3-0으로 승리하였다. 말레이시아의 샤하루딘이 14분에, 살레가 67분에, 완 자와위가 77분에 득점하였다. 관중은 3,000명이였다. 노르웨이의 헨리 오베르그가 주심을 맡았다.
- 1972년 8월 31일, ESV-슈타디온(잉골슈타트)에서 열린 모로코와 말레이시아의 경기에서 모로코가 6-0으로 승리하였다. 모로코의 벤크리프가 16분에, 파라스가 19분, 21분, 25분에, 엘 필랄리가 56분에, 타티가 85분에 득점하였다. 관중은 2,500명이였다. 헝가리의 카로이 팔로타이가 주심을 맡았다.
- 1972년 8월 31일, 올림픽 스타디움(뮌헨)에서 열린 서독과 미국의 경기에서 서독이 7-0으로 승리하였다. 서독의 니켈이 17분, 43분, 70분, 86분에, 히츠펠트가 47분에, 젤리거가 62분에, 비츠가 79분에 득점하였다. 관중은 65,000명이였다. 멕시코의 마르코 안토니오 도란테스 가르시아가 주심을 맡았다.
3. 1. 2. B조
{{#invoke:sports table|main|style=WDL|res_col_header=Q
|winpoints=2
|show_positions=n
|team1=URS|name_URS=
|team2=MEX|name_MEX=
|team3=BIR|name_BIR=
|team4=SUD|name_SUD=
|win_URS=3|draw_URS=0|loss_URS=0|gf_URS=7|ga_URS=2
|win_MEX=2|draw_MEX=0|loss_MEX=1|gf_MEX=3|ga_MEX=4
|win_BIR=1|draw_BIR=0|loss_BIR=2|gf_BIR=2|ga_BIR=2
|win_SUD=0|draw_SUD=0|loss_SUD=3|gf_SUD=1|ga_SUD=5
|col_A=#ccffcc|text_A=2라운드 진출
|result1=A|result2=A
|update=complete|source=[https://www.fifa.com/tournaments/mens/mensolympic/munich1972/match-center FIFA]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3 | 3 | 0 | 0 | 7 | 2 | +5 | 6 | |
3 | 2 | 0 | 1 | 3 | 4 | -1 | 4 | |
3 | 1 | 0 | 2 | 2 | 2 | 0 | 2 | |
3 | 0 | 0 | 3 | 1 | 5 | -4 | 0 |
- 1972년 8월 28일, 소련은 레겐스부르크의 얀슈타디온에서 미얀마를 상대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콜로토프가 51분에 득점하였다.
- 1972년 8월 28일, 멕시코는 뉘른베르크의 프랑켄슈타디온에서 수단을 상대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만소가 16분에 득점하였다.
- 1972년 8월 30일, 멕시코는 뉘른베르크의 프랑켄슈타디온에서 미얀마를 상대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쿠에야르가 86분에 득점하였다.
- 1972년 8월 30일, 소련은 뮌헨의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수단을 상대로 2-1 승리를 거두었다. 예브류지킨이 42분(페널티킥), 자나자냔이 44분에 득점하였고, 수단의 악사는 59분에 득점하였다.
- 1972년 9월 1일, 소련은 레겐스부르크의 얀슈타디온에서 멕시코를 상대로 4-1 승리를 거두었다. 블로힌이 7분, 13분, 14분에 득점하였고, 세묘노프가 58분에 득점하였다. 멕시코의 라조는 60분에 득점하였다.
- 1972년 9월 1일, 미얀마는 파사우의 Dreiflüssestadion에서 수단을 상대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Soe Than이 7분, Aung Moe Thin이 61분에 득점하였다.
3. 1. 3. C조
Hungary영어 (헝가리)는 1972년 8월 27일 뉘른베르크의 프랑켄슈타디온에서 열린 해당 대회에서 تیم ملی فوتبال ایرانfa (이란)을 상대로 5-0 승리를 거두었다. A. Dunai가 3골, Várady와 Kozma가 각각 1골씩을 기록했다. 같은 날 파사우의 Dreiflüssestadion에서는 덴마크가 브라질을 3-2로 이겼다. Simonsen이 2골, Røntved가 1골을 넣었고, 브라질에서는 Dirceu와 Zé Carlos가 득점했다.8월 29일, 덴마크는 아우크스부르크의 Rosenaustadion에서 이란을 4-0으로 꺾었다. Heino Hansen이 2골, Simonsen과 Nygaard가 각각 1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뮌헨의 올림픽 스타디움에서는 헝가리와 브라질이 2-2 무승부를 거두었다. 헝가리는 A. Dunai와 Juhász가, 브라질은 Pedrinho와 Dirceu가 골을 넣었다.
8월 31일, 덴마크는 아우크스부르크의 Rosenaustadion에서 헝가리에게 0-2로 패했다. E. Dunai가 2골을 모두 기록했다. 같은 날 레겐스부르크의 얀슈타디온에서는 이란이 브라질을 1-0으로 이겼으며, Halvai가 결승골을 넣었다.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3 | 2 | 1 | 0 | 9 | 2 | +7 | 5 | |
3 | 2 | 0 | 1 | 7 | 4 | +3 | 4 | |
3 | 1 | 0 | 2 | 1 | 9 | -8 | 2 | |
3 | 0 | 1 | 2 | 4 | 6 | -2 | 1 |
3. 1. 4. D조
폴란드는 1972년 8월 28일 잉골슈타트의 ESV-슈타디온에서 열린 콜롬비아와의 경기에서 데이나와 가도차의 득점에 힘입어 5-1 대승을 거두었다. 모론이 콜롬비아의 만회골을 넣었다. 같은 날 뮌헨의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린 동독과 가나의 경기에서는 크라이셰, 슈트라이히, 슈파르바서의 연속골로 동독이 4-0 완승을 거두었다.8월 30일, 드라이플뤼세슈타디온에서 열린 동독과 콜롬비아의 경기에서는 슈트라이히와 슈파르바서의 연속골과 두케, 포겔, 크라이셰의 골을 묶어 동독이 6-1 대승을 거두었다. 에스피노사가 콜롬비아의 만회골을 넣었다. 같은 날 얀슈타디온에서 열린 폴란드와 가나의 경기에서는 루반스키와 가도차, 데이나의 연속골로 폴란드가 4-0 완승을 거두었다.
9월 1일, 프랑켄슈타디온에서 열린 폴란드와 동독의 경기에서는 고르곤의 두 골로 폴란드가 2-1 승리를 거두었다. 동독은 슈트라이히가 한 골을 만회했다. 같은 날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린 콜롬비아와 가나의 경기에서는 모론, 토레스, 몬타뇨의 골로 콜롬비아가 3-1 승리를 거두었다. 가나는 선데이가 한 골을 만회했다.
최종 결과, 폴란드는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2라운드에 진출했고, 동독은 2승 1패로 조 2위를 차지하며 2라운드에 진출했다. 콜롬비아는 1승 2패, 가나는 3패로 탈락했다.
3. 2. 2차 리그
3. 2. 1. 1조
{{#invoke:sports table|main|style=WDL|res_col_header=Q
|winpoints=2
|show_positions=n
|team1=HUN|name_HUN=
|team2=GDR|name_GDR=
|team3=FRG|name_FRG=
|team4=MEX|name_MEX=
|win_HUN=3|draw_HUN=0|loss_HUN=0|gf_HUN=8|ga_HUN=1
|win_GDR=2|draw_GDR=0|loss_GDR=1|gf_GDR=10|ga_GDR=4
|win_FRG=0|draw_FRG=1|loss_FRG=2|gf_FRG=4|ga_FRG=8
|win_MEX=0|draw_MEX=1|loss_MEX=2|gf_MEX=1|ga_MEX=10
|col_A=green1|text_A=금메달 결정전
|col_B=blue1|text_B=동메달 결정전
|result1=A|result2=B
|update=complete|source=[https://www.fifa.com/tournaments/mens/mensolympic/munich1972/match-center FIFA]
}}
1972년 9월 3일, 서독과 멕시코의 경기가 뉘른베르크의 프랑켄슈타디온에서 열렸다. 서독의 히츠펠트가 전반 5분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멕시코의 쿠에야르가 후반 24분에 동점골을 넣어 1-1 무승부로 끝났다.
같은 날, 헝가리는 파사우의 드라이플뤼세슈타디온에서 동독을 상대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헝가리의 A. 두나이와 토트가 각각 후반 15분과 21분에 골을 기록하였다.
9월 5일, 동독은 잉골슈타트의 ESV-슈타디온에서 멕시코를 7-0으로 대파했다. 간체라, 슈파르바서(3골), 슈트라이히, 크라이셰, 헤프너가 득점했다.
9월 6일, 헝가리는 뮌헨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서독을 4-1로 꺾었다. 헝가리의 E. 두나이, A. 두나이, 퀴(2골)가 득점했고, 서독은 히츠펠트가 한 골을 만회하는 데 그쳤다.
9월 8일, 헝가리는 레겐스부르크의 얀슈타디온에서 멕시코를 2-0으로 이겼다. A. 두나이와 코치시가 골을 넣었다.
같은 날, 동독은 뮌헨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서독에 3-2로 승리했다. 동독의 포메렌케, 슈트라이히, 포겔이 득점했고, 서독에서는 회네스와 히츠펠트가 골을 넣었다.
3. 2. 2. 2조
{{#invoke:sports table|main|style=WDL|res_col_header=Q
|winpoints=2
|show_positions=n
|team1=POL|name_POL=
|team2=URS|name_URS=
|team3=DEN|name_DEN=
|team4=MAR|name_MAR=
|win_POL=2|draw_POL=1|loss_POL=0|gf_POL=8|ga_POL=2
|win_URS=2|draw_URS=0|loss_URS=1|gf_URS=8|ga_URS=2
|win_DEN=1|draw_DEN=1|loss_DEN=1|gf_DEN=4|ga_DEN=6
|win_MAR=0|draw_MAR=0|loss_MAR=3|gf_MAR=1|ga_MAR=11
|col_A=green1|text_A=금메달 결정전
|col_B=blue1|text_B=동메달 결정전
|result1=A|result2=B
|update=완료|source=[https://www.fifa.com/tournaments/mens/mensolympic/munich1972/match-center FIFA]
}}
- 폴란드는 금메달 결정전에 진출하였고, 소련은 동메달 결정전에 진출하였다.
1972년 9월 3일, 얀슈타디온에서 열린 덴마크와 폴란드의 경기에서, 헤이노 한센이 선제골을 넣었으나 데이나가 동점골을 넣어 1-1 무승부로 끝났다. 같은 날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린 소련과 모로코의 경기는 세묘노프, 콜로토프, 엘리세예프의 연속 골로 소련이 3-0으로 승리했다.
1972년 9월 5일, 로제나우슈타디온에서 열린 소련과 폴란드의 경기에서, 블로힌이 선제골을 넣었으나 데이나와 소우티식의 골로 폴란드가 2-1 역전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드라이플뤼세스타디온에서 열린 덴마크와 모로코의 경기에서는 바크가 2골, 프린츠라우가 1골을 넣어 덴마크가 3-1로 승리했다. 모로코는 메르자크가 1골을 넣었다.
1972년 9월 8일, 프랑켄슈타디온에서 열린 폴란드와 모로코의 경기에서, 크미에치크, 루반스키, 데이나(2골), 가도차의 연속골로 폴란드가 5-0 대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로제나우슈타디온에서 열린 소련과 덴마크의 경기에서는 콜로토프, 세묘노프, 블로힌, 사보의 연속골로 소련이 4-0으로 승리했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폴란드/Polskapl | 3 | 2 | 1 | 0 | 8 | 2 | +6 | 5 |
소련/СССРru | 3 | 2 | 0 | 1 | 8 | 2 | +6 | 4 |
덴마크/Danmarkda | 3 | 1 | 1 | 1 | 4 | 6 | -2 | 3 |
모로코/المغربar | 3 | 0 | 0 | 3 | 1 | 11 | -10 | 0 |
분류:1972년 하계 올림픽 축구
4. 결선 토너먼트
4. 1. 3·4위전
1972년 9월 10일,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린 소련과 동독의 3·4위전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다. 블로힌과 후르칠라바가 각각 득점하여 소련이 앞서갔지만, 동독의 크라이셰와 포겔이 득점하여 동점이 되었다. 경기는 무승부로 종료되어 양 팀 모두 동메달을 수상하였다. 관중은 80,000명이 입장하였고, 심판은 아르만도 마르케스가 맡았다.4. 2. 결승전
1972년 9월 10일, 올림픽 스타디움(뮌헨)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폴란드가 헝가리를 2-1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데이나는 47분과 68분에 득점하여 폴란드의 승리를 이끌었고, 헝가리는 바라디가 42분에 득점했다. 경기는 쿠르트 체셰르 (서독) 심판이 주관하였고, 80,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wikitable
1972년 하계 올림픽 축구 결승전 | ||
---|---|---|
2 – 1 | ||
데이나 | 바라디 | |
colspan=3 | |
5. 최종 순위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동메달 |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1972년 하계 올림픽 축구에서는 폴란드가 금메달, 헝가리가 은메달을 획득하였고, 소련과 동독이 공동 동메달을 획득했다.
6. 득점 선수
9골을 기록한 선수
7골을 기록한 선수
- 안탈 두나이
6골을 기록한 선수
- 요아힘 슈트라이히
- 로베르트 가도하
- 올레 블로힌
- 베른트 니켈
5골을 기록한 선수
- 한스위르겐 크라이셰
- 위르겐 슈파서바서
- 오트마어 히츠펠트
3골을 기록한 선수
- 알란 시몬센
- 하이노 한센
- 에베르하르트 포겔
- 에데 두나이
- 아흐메드 파라스
- 빅토르 콜로토프
- 뱌체슬라프 세묘노프
2골을 기록한 선수
- 지르세우
- 하이메 모론
- 켈드 바크
- 벌러러디
- 러요시 퀴
- 레오나르도 쿠에야르
- 예지 고르고니
- 브워지미에시 루반스키
- 루돌프 젤리거
1골을 기록한 선수
- 페드리뉴
- 제 카를루스
- 탄 소에
- 틴 아웅 모에
- 파비오 에스피노사
- 루이스 몬타뇨
- 앙헬 토레스
- 크리스텐 니가드
- 레이프 프린츠라우
- 페르 뢰트베드
- 페터 두케
- 프랑크 간체라
- 라인하르트 헤프너
- 위르겐 포메렌케
- 이브라힘 선데이
- 페테르 유하스
- 러요시 코치시
- 미하이 코즈마
- 칼만 토트
- 마지드 할바이
- 살레
- 샤하루딘
- 완 자와위
- 부제마 벤크리프
- 모하메드 메르자크
- 모하메드 엘 필랄리
- 모하메드 타티
- 다니엘 라소
- 마누엘 만소
- 카지미에시 크미에치크
- 지그프리트 숄티시크
- 무르타즈 후르칠라바
- 요제프 사보
- 유리 옐리세예프
- 겐나디 예브류지킨
- 호브하네스 자나자냔
- 작사
- 헤르만 비츠
- 울리 회네스
- 위르겐 칼프
- 로날트 보름
참조
[1]
웹사이트
Football at the 1972 Munich Summer Games
https://web.archive.[...]
2018-10-22
[2]
웹사이트
'«Высоцкий дал установку: «Макаронщиков надо обыграть». Он знает о нашем футболе все'
https://www.sports.r[...]
2017-06-02
[3]
뉴스
ミュンヘンから新方式で 五輪サッカー
読売新聞
1969-05-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